반응형

리본 마이크, 리본 트위터

기본적으로 마이크와 스피커의 구조는 같다

소리를 전자기장에 떨림이라는 방식으로 통과시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방향으로 쓰던가

아니면 역방향으로 쓰던가 둘 중에 하나를 내가 선택하면 된다

그래서 이전에 만들었던 리본 트위터 즉 스피커를 마이크로 사용할 수도 있는 거다

하지만 전기 신호를 증폭해주는 보드가 아직 도착하지 않아서 집에 있는 재료로 마이크를 만들어봤다

 

1. 변압기 연결

이전에 만든 스피커는 소리가 너무 작았다. 그래서 예측할 수 있는 건 아마 마이크로 사용해도 소리가 작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일단 테스트해 봤는데, 정말 소리가 너무 작아서 뭔가 삑삑 거리기는 하는데 내가 뭐라고 했는지 제대로 들을 수가 없었다

이게 전기 신호다 보니까 이 신호를 증폭시켜주면 될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들었고, 양놈들 유튜브를 보니까,

코일을 감고 그 위에 또 코일을 감는 부품을 만들고 있더라고

딱 보니까 변압기와 구조가 같길래 나에게 있던 작은 전자제품의 부품이 떠올랐다

 

이게 뭐게?

 

일회용 카메라 플래시 보드다

지난 번엔 일회용 카메라 렌즈를 미러리스에 장착하는 부품으로 쓰다 남은 건데 정말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아닐 수 없다 

저 보드의 맨 오른쪽 아래에 있는게 변압기 

저걸 떼서 쓸거다

요렇게

 

내가 관련 지식이 없는게 진짜 한인데, 모르는 가운데 설명하자면

전기 전압 전류? 그게 뭐든, 저기 한쪽 방향에 연결하면 반대 방향으로 그 전기 전압 전류?가 증폭되거나 증감되어 나오는 물건이다

연결된 쪽에 코일을 감은 수에 따라 다른 쪽에 연결된 코일로 그 조작된 전기 흐름을 만들어서 가감시키는 건데 사실 알 필요 없다

그냥 어떻게 쓰는지만 알면 된다

 

한쪽은 다리가 두개, 다른 쪽은 다리가 세개인데, 내가 만든 리본 트위터겸 마이크에 다리 두개 쪽을 연결할 거다

그럼 전기 신호가 증폭되서 반재쪽 다리 세개 방향으로 나온다고 이해하면 된다

 

 

요렇게 만들면 된다 ㅇㅋ?

 

2. 케이스

뭘로 케이스를 만들까 하다가 요즘 전자제품엔 누드 케이스가 유행이라는 생각이 들어 벌통으로 만들어봤다

 

요기에 넣으면 앞에 뭔가 천이나 그런 걸로 막을 필요도 없겠다 싶어서 옳다구나 싶었지

벌들을 위한 숨구멍이 딱 수음부로 알맞아 보이잖아

 

그리고 그 안을 채워줄 내장재는 고기 불판 필터를 사용했다

 

요즘은 전기 불판에도 필터가 들어간다고

 

아무튼 이걸 잘 잘라서 안에 넣고 잘 고정시키면 나도 자작 마이크 소유자

 

3. 완성

 

따란

 

이제 녹음기에 연결해서 테스트를 해보자.

 

1번 테스트

 

요건 커버(케이스) 없이 테스트로 녹음했더니 팅팅 거리는 소리가 난다.


2번 테스트


요건 커버(케이스)를 다 만들고 안에 넣어서 녹음. 이제 쓸만하다. 그럼 해볼까?

 

노래를 불러보자

 

녹음 버튼을 안 눌러서 다시 녹음하고 더빙함.

소리는 이 마이크로 녹음 됨.

 

쉽다. 여러분도 한번 만들어 보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