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본 트위터, 리본 마이크
유튜브에 ribbon tweeter, ribbon mic 라고 치면 천지 삐까리로 나온다.
내가 이해한 원리는 자기장이든 전기장이든 장을 통과하는 전도체의 양 끝에 전선을 연결하면 소리로 변환하기 쉽다는 것이다.
전도체의 떨림은 곧 전기 신호로 변환 되는데, 이걸 스피커나 마이크 잭에 연결하면 그 용도대로 쓸 수 있다는 것.
물론 그 신호가 미약하기 때문에 증폭 시켜줄 필요가 있다. 마이크든 스피커든
일단 만들어 보자
리본 트위터
내가 쓴 재료는
필수 재료 : 네오디뮴 자석 2개, 알루미늄 호일, 부도체면서 프레임이 되어 줄 아이스크림 막대 3개, 납, 인두, 애나멜 선
부가 재료 : 글루건, 화분 물빠짐 그물 덮개(플라스틱), 물티슈 덮개 2개
요렇게 된다.
1. 자석과 프레임을 붙여준다.
요렇게.
주의할 점은, 서로 붙는 방향으로 마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다른 극이 서로 마주볼 수 있게.
그리고 이 사이에 전도체이지만 자성이 없는 알루미늄 호일을 지나가게 해야 한다. 다만 자석과 닿지 않도록 주의 하면서.
그렇게 하려면, 자석이 서로 붙지 않게 중간을 지탱해 줄 기둥이 필요한데, 아이스크림 막대를 하나 더 썼다.
요렇게.
2. 알루미늄 호일
요거 만드는 애들 보니까 다들 접어주더라. 아마 면적을 길게 하기 위함인 듯?
양놈들 유튜브를 보니까 전용 도구인 기어를 만들어서 그 사이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균일한 접힘을 만들던데,
난 그런 거 없으니 그냥 대충 잘라서 접어주었다.
![]() |
![]() |
그리고 이걸 잘 펴서, 자석 사이에 붙이면 끝!
![]() |
![]() |
요렇게.
프레임이 순간 접착제로는 잘 유지가 안 돼서, 각 귀퉁이에 글루건을 쏴 줬다.
이 알루미늄 리본 양 끝에 전선을 연결하면 끝이다.
참 쉽죠?
![]() |
![]() |
알루미늄 호일이 너무 찢어지기 쉬운 물건이라 뭔가를 덮어주긴 해야 할 텐데 싶어서 물티슈 뚜껑(언젠간 쓰지 않을까 싶어서 짱박아뒀던) 두개를 겹쳐서 케이스를 만들어줬다.
3. 리본 트위터. 자작 스피커 테스트
배터리 교체하고 뒷판을 못 붙인 구형 아이팟 나노의 이어폰 단자에 납땜질을 해줬다.
일단 완성!
근데 소리가 너무 작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500원짜리 5v 모노 앰프 보드를 주문했는데 아직 도착하지 않아서 대기 중.
도착하면 연결해서 테스트해보겠다.
'직접 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혈모세포/골수 기증 (8) | 2024.09.26 |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벌 키우기 생활 -2- (0) | 2024.08.13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벌 키우기 생활 -1- (0) | 2024.08.13 |
미러리스에 일회용 카메라 렌즈를 써보자 3 [sony e-mount] (0) | 2024.05.31 |
제로부터 시작하는 벌 키우기 생활 - 2군 편성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