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는 왜 전설이 되었을까?]

 

종종 80-90년대 학창 시절의 교과서나 노트를 꺼내 보며 '그때는 참 순수했구나.' 따위의 생각을 하고 그 시절의 나의 발상에 놀라기도 하면서 왠지 낯간지러운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지 않은가? 지금의 내게서 잊혀진 과거의 편린을 접하는 것은 여러 가지 사유와 감정을 동반하며 그 시간 자체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 마련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 현재로 돌아와 지금의 내가 되면, 변해버린 나 자신을 발견하고, 변해버린 세상을 보며 격세지감에 아찔해진다. 그렇게 변해버린 세상과 변해버린 나. 동시에 변하지 않은 것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 싶다.

 

지금은 흔해빠진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의 창작물 안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사람들이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혹은 단순히 살아가기 위해 주변의 넘쳐나는 위험 요소들을 배제하는 장면들은 낯설지 않다.

 

예를 들어, 좀비영화나 재난영화에서 안전한 장소, 안전한 음식, 안전한 시간을 영위하기 위해 좀비를 비롯한 각종 위험 요소들을 없애고 환경을 개발하는 장면들 말이다. 그리고 오늘 소개하고 싶은 1954년 리처드 매드슨이 발표한 대작 소설 '나는 전설이다.' 또한 그러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모든 이가 뱀파이어로 변한 세상에서 유일하게 홀로 인간으로 남은 주인공 네빌. 그는 밤 시간 동안 자신의 거처로 몰려오는 뱀파이어들에 대항하여 공성하다가, 해가 떠 있는 시간에는 자신의 거처를 기반으로 주변 지역의 뱀파이어들을 찾아다니며 가슴에 말뚝을 박아, 하나 둘씩 죽여 나간다. 그러나 여기 단 하나. 다른 영화들과는 다른 점이 존재하며 이 점으로 말미암아 이 소설의 결론이 결정지어지고 끝없는 사유를 불러일으킨다.

 

그것은 바로 그 뱀파이어들이 '생각하는-그러므로 사회적인-존재들'이라는 점이다. 이 책의 마지막에서 결국 뱀파이어들에게 사로잡힌 네빌은 자신을 두려워하는 뱀파이어들을 보게 된다. 인간의 세상에서 무력한 밤 시간 동안 인간을 잡아먹는 뱀파이어가 두려움의 대상이었듯이, 뱀파이어라는 신인류들의 세상에서 그들이 무력한 낮 시간 동안 그들을 죽이며 다니던 자기 자신이 완벽하게 두려움의 대상이 된 것을 깨달았을 때, 그는 변했다고 생각했던 세상이 사실 다르지 않다는 것과 오히려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던 자기 자신의 위상이 변하였다는 것을 인식하며 외친다. '나는 전설이다.'라고.

 

이 소설을 읽어 본 사람들은 윌 스미스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동명의 영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영화의 세계관에서는 뱀파이어를 좀비로 바꾸면서 그들의 지성을 앗아갔으며, 그러므로 주인공이 전설이 되는 이유가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극히 주관적인 인간 실존의 영역과 그 반대편에 있는 사회 및 공동체의 영역을 넘나들다가, 종국에는 그 모든 것을 그러모아 터트리며 거대한 질문을 던지는 이 대작은 이후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커다란 영감을 주었다. 그리고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또한 충분히 넘치도록 유효한 사유를 제공한다. 세상도 개인도 급변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말이다.

 

절대적이라 생각했던 가치와 사상들이 세계화라는 물결 속에 파도처럼 휩쓸려 나가고 진리라 여겨졌던 각종 이론들은 나오기가 무섭게 그 반론이 제시되고 있다. 이전 같으면 수 세기는 지나야 이루어졌을 변화가 불과 10, 아니 2-3년 만에도 이루어져 순식간에 손바닥 뒤집듯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급변하는 세상에서 변하지 않음은 그 자체로 스스로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모순을 가진다. 그리고 그 모순은 불안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개개인에게 어서 세상의 흐름에 따르라고 재촉한다. 그래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모든 것이 변해가는 시간 속에서 안정할 수 있는 기준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지금 세상은 우리에게 질문하고 있다. 신인류가 되어 살아남을 것인가 아니면 도태되어 전설이 될 것인가? 나 자신에게서도 사회에서도 그 기준을 찾을 수가 없다면 우리는 어디서 그러한 기준을 찾아야 할 것인가?

 
반응형
반응형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김보영 외 3

 

네 명의 작가가 각각 태양계라는 주제에 맞추어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라는 결론을 끌어낸 작품들의 모음집이다. SF 단편 소설들로 재미있었던 작품도 있고, 그렇지 않은 작품도 있었지만, 대체로 만족스러운 선택과 독서였다.

 

너무 과도한 설정과 불친절한 설명으로 읽는 재미가 떨어지는 작품도 있었다. 분명히 소설은 소설만의 요소가 부각될 때 더 아름다워지고 재미있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중반에 다다르도록 뭐가 뭔지조차 알기 어렵도록 복잡하게 만들어낸 설정은 작가의 의욕에 반비례하는 완성도와 재미를 가져왔다. 네 번째 작품인 듀나작가의 두 번째 유모가 그런 소설이었다.

 

반면에 그런 소설만의 요소를 잘 활용하여 긴장감과 몰입을 잘 모아서 터뜨려 준 소설도 있었다. 세 번째 작품인 김보영작가의 얼마나 닮았는가가 그런 작품이었다. 소설이 어떻게 여타 다른 시각적 컨텐츠와 다른지에 대하여 장점을 모아서 재밌게 만들어준, 그야말로 작품이라는 말이 아깝지 않은 글이었다.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이 있다. 그게 내가 계속 사로잡혀 있던 생각이었다. 문제는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을 내가 알아낼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애초에 모르는 것을 안다는 말부터 앞뒤가 맞지 않는다.”

 

우리는 글을 보며 상상을 한다. 그 상상은 사람들마다 다를 수밖에 없지만, 동시에 작가가 우리에게 던져준 배경의 묘사와 등장인물들의 대사로 이루어지기에 훌륭한 작가라면 이것을 자신의 의지로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이끄는 과정에서 김보영작가는 독자의 선봉에 인공지능 AI ‘을 세워서 함께 알아가도록 만들었다. 우리가 글이라는 한계로 보지 못하는 것과, 인공지능 AI 훈이 보지 못하는 것을 묘하게 조화시켜서, 마침내 훈이 그것을 알아내게 만들었을 때, ‘!’라는 탄성이 터지게 만드는 이해와 공감의 쾌감은 소설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최대한 살렸다는 것을 보여준다.

 

재미있는 책이다. 개인적으로 네 개의 작품 중에 절반 정도는 정말 재미가 없었지만, 세 번째 작품 하나만으로도 가치가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